명동으로 영화를 보러이동했다.
사실 시간여유가 있어서 교보에서 책보다가 가려고 했는데, 도보로 이동하다보니
그정도의 여유는 없어서 바로 명동으로 가려고 하다가

시청광장에서
발레 공연 같은걸 하고 있었다.
카메라도 가져와서 사진을 찍었는데, 줌렌즈는 집에 두고와서 조금 아쉬웠다.





사실 조금 아쉬운 감이 있어서... 사진을 크롭한놈...






우연히 1촌 싸이 보다가... 이런글을 읽었다
개발자의 수동적인 태도에 대한 포스팅이었지만,
가볍게 다루기엔 조금 무거운 주제가 아니었나 생각된다.


짜장면과 개발자

http://searching.egloos.com/2355521



그렇다면 개발자의 입장에서 다시 생각해볼까?
(막상적고 보니...  윗글의 덧글에 더 좋은 예가 많다)

Situation1.
전화가 왔다. "배가 고픈데 면이 좋을꺼 같고, 검은색이면 좋을것 같아요"
"짜장면이면 돼죠?" 하고 배달을 갔다.
"어???  난 국물이 먹고 싶은데...!"

Situation2.
볶음밥 서비스로. 짬뽕국물을 가져다 줬다.
"국물을 먹어보니 역시 짬뽕이 좋겠어요"

Situation3.
배달을 갔다.
"자장면만 먹으니... 좀 입이 심심한데 탕수육 서비스 안되나요? !!!"


... 생략 ...


사실 어떤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의 need를 파악하는건 개발자의 업무라기 보다는
PM, 기획자의 업무에 더 맞는게 아닐까 싶다.

자장면을 만들고(개발자)
서비스와 메뉴구성(기획자)를 하고
전화를 받고, 배달순서와 오더를 내리고(PM)
하는데 왜 욕은 개발자만 들어야 하는건지 모르겠다..

하지만 국내 실정을 보면 설계, 기획, 개발, 유지보수, 수정, 일정관리 대부분을 개발자가 하는경우도
허다한게 사실이다.  개발자는 슈퍼맨이 아니다.


[고객의 문제?]
갑이라고 볼수 있는...고객
고객은 자기가 원하는것이 무엇인지 정형화 되지 않는경우도 많다.
자기자신은 그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 프로세스를 모른다.

"인도에서는 손으로 카레를 먹는게 상식이지만, 한국에선 숟가락으로 먹는게 상식이다"
동일한 상황이 누가 생각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

개발자는 고객보다 개발을 더 잘하지만,
고객은 업무프로세스를 훨씬 잘안다.
필요한 요구사항과, 사용할 업무 프로세스는 고객자신이 가장 잘 알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짜장면 이론에서 나왔던것을 반대로 생각하면,
요구를 정확히 했다면 모든것을 받아낼수 있다는것이다.

[PM / 기획자 등등]
고객과 개발자를 묶는 중간단계...
서로의 의견과 요소들을 중재해야 하다는 어려운 일이다.
이들은 고객의 need를 어디까지 구현가능한지 판단하고
일정을 생각하고, 개발자에게 요구해야한다.

하지만, 가끔... 개발자가 알아서 하길 바라는 사람들도 있긴하다... ㄱ-


[개발자의 문제?]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하게 되는것이
"정확한 시일에 요구한걸 얼마나 정확히 구현하느냐!"이다.
우리나라의 프로젝트상황을 보면... 언제나 일정에 쫓긴다.

중간중간 마다 바뀌는 요구사항이 생기고...
높으신분 한마디에 소스를 뒤업는 경우도 허다하다...

개발자의 문제라고 한다면 그 이유를 정확히 전달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사실 개발자치고 말빨 좋은사람은 드믈다...
 하지만, 그 이유를 자근자근 설명하고 설명 한다는건.... 중요하다고 본다.




[마치며]

"개발자 / 기획자,관리자 / 고객" 라는 특성은 서로 다르고 서로 상호 보완되어야 한다.
서로의 특성으로

고객은 이상을 꿈꾸고...
기획자와 관리자는 결론과 편의성을 꿈꾸고...
개발자은 단계단계와 안정성을 꿈꾼다...

이 서로다른꿈은 사실... goal은 한곳이지만 추구하는 바가 다른것 뿐이다.
이것을 얼마나 조율하고 서로 이해하는것이 가장 중요한건 아닐까?
난 그렇게 생각한다.
최근... 하기 시작한 구현 주요사항....
ibatis를 통한 DB연계, ajax를 통한 비동기 페이지 구현 + 자바 스크립트형 테이블 모듈 사용...

실제 구현 2주째....
간단한 느낌....

[1] ibatis를 처음 사용해본 느낌...
ibatis를 사용해서 쓰는건 나름 xml에 sql문을 정의해서 쓰기 때문에
닥 jsp로 구현하는것보다 소규모 프로젝트에서는
xml작성, 자료구조형 class와 로직쪽 class를 만드는 번거로운
작업이 되긴 하지만 사실.....남들이 보기에 좋다.
좀 귀찮긴 해도 나름 좋은느낌...


[2] ajax + js. 테이블모듈(?) 사용
완전 노가다의 산물이다...
한화면에 비동기로 처리될 테이블 구조가 4개...

1) html코드상에선 값출력을 위해 레이어id 남발,
2) 값을 전달과각 기능별 값을 유지하기 위한 js 변수남발,

각 기능별 변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자바스크립트를 class화해서 정의했는데도 떡실신....하는걸 보면

비동기적인 처리?? 개념은 좋은데...
각 접근을 위한 사전작업이 장난아닌듯...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