딴사람은 이런적이 없었을까?

뭔가 읽을만한 컴퓨터 관련 도서는 없나?
책파는사이트에서 추천되는건 왠지 거기서 거긴거 같고...


뭔가 읽을 만한것!! 이라는건 참 추상적인 정보인거 같다.
"컴퓨터 추천 도서" 이렇게 찾아봤자. 원하는 결과는 나오지 않는다.



비슷한 예로 "광화문 맛집" 이렇게 검색해도 수많은 결과가 나오는데
과연 진짜 맛집은 뭘까? 맛집이라는 키워드가 있지만... 기냥 방문기인경우도 있고
결과도 너무 중복된다. A라는 가게에 대한 후기가 많을수록 뭔가 이슈가 될만한 가게라는것이겠지?

이제 검색에서 통계적인 개념이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통계라는건 사실 검색(search)하는것보다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속도라던가. 정보의 추출이라던가...
그리고 사용자가 남기지 않은 태깅정보를 활용하려면 그것도 비용의 증가...
"예를 들어 블로그 포스팅의 제목을 활용한다거나"


하지만 추상적인 정보의 요구에 응답하는 뭔가가 필요하다.

뭔가 추출된 메타정보의 관계? 라던가 비율? 뭔가 지표가 더 필요해 보인다.

전산쟁이들은 컴퓨터의 cpu, io, 메모리 등의 비용만 고려한다.

하지만 가장 큰 주체인 인간(사람)이 낭비하는 시간을 고려하지 않는 오류를 범한다.


컴퓨터는 사람이 편하려고 만든건데....
프로그래밍을 하는 본인에게는 오히려 뭔가 복잡해지는 느낌이다.


"컴퓨터가 놀고,
 내가 삽질하고 있다면
 뭔가 잘못된건 아닐까?"



실제 프로젝트를 나가서 일을 하다보면,

실제 해야할 핵심작업 50% + 단순 반복되는 작업 (50%)   = 100%

이런 느낌을 받는다.

아닌것 같다고??
내가 하는 작업만 해도  이런 작업들이 존재한다.
1. 수시로 소스파일과 기타 부수적인 파일을 날짜별로 수시로 백업해야한다.
2. 데이터 스키마가 수시로 변경되서, 요청한 문서와 실제 데이터의 스키마가 불일치 되어...
   관련 데이터 요청시 실제 데이터와 문서 데이터를 일치화 시켜서 작업해야한다.
3. 어떤 하나의 작업을 관리하기 위해 쉘스크립트 파일들을 만들기도 한다.


위 작업은 하나의 작업에는 몇 십분에서 한 두시간을 소요하지만.
문제는 반복되어 작업하기 때문에 20분짜리 작업이 5번씩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것이다.


학교 숙제와 프로젝트의 다른점은
학교 숙제는 요구사항이 변하지 않고, 마지막 완성본만 제출하면 되지만...
요구사항이 변경되고, 수시로 고객이나 PM에게 보고를 해야 하기 때문에
한번에 끝날 작업이 아니라는것이고...
이런 프로젝트는 그 일을 하는동안은 매번 반복될것이라는의미다.

기냥 내가 말하고 싶은건 이런 말이다.
효율적으로 일하려면...
실제 내가 할 코어의 작업을 땡길수는 없다.

피카소한테 재촉해도 멋진그림이 서둘러 완성될수는 없다.
단, 붓과 물감, 캔버스는 미리 준비해두면
영감을 얻는 즉시! 그림을 그릴수 있을뿐....




글작성. 2010.08.29 정민철(deajang@nate.com)

이미지를 업로드할 때,
탐색기 기본 썸네일크기가 좀 작아서 불편할때가 있다..
(역으로 여러사진을 한눈에 보기위해 더 작게 하고 싶을수도있음)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하면 된다.
참고로 dword는 16진수이므로 00000080 를 10진수로 바꾸면 128이다.
즉 128px로 바꾸는 레지스트리 변경내용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
"ThumbnailSize"=dword:00000080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
"ThumbnailSize"=dword:00000080


물론 저처럼.. 128px로 바꾸려면 아래와 같은 레지스트리를 받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기본크기를 키울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